2022년 7월 11일부터 7월 29일까지 3주 동안 진행된 UCLA Summer Session B3 과정을 수강했습니다.
수업은 총 두 가지 과목을 들었는데, Elementary Spanish 2와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강의를 들었습니다. SPAN 강의는 대면으로 월화수목금 아침 9시부터 11시까지 진행되었고, COMM 강의는 비대면으로 월화수 5시부터 8시까지 진행되었습니다.
SPAN 강의의 경우, 초급 스페인어 강의이지만 미국에서 스페인어가 제1외국어라기보다는 제2공용어에 가까워서 한국에서의 초급 스페인어 수준에 비해서는 조금 어려운 편이었던 것 같습니다. 수업은 모두 스페인어로 진행되었고, 문법보다는 회화를 비롯한 전반적인 의사소통에 중점을 두고 진행이 되었습니다. 교수님께서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려고 노력을 많이 하시기도 하고, 수업에서 새로운 것들을 배울 때마다 그 내용을 응용해 학생들끼리 대화를 구성해볼 수 있도록 시간을 많이 주셨던 덕에 스페인어 회화 실력을 기르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외국어 수업이니만큼 학우들과 소통하거나 친해질 기회가 많았던 점도 좋았습니다.
COMM 강의는 비대면으로 진행되어 아쉬움이 있었지만 매일 부과되는 레포트 과제와 교수님의 피드백을 통해 알차게 배워갈 수 있는 것들이 많았던 수업이었습니다. Session 전체를 통틀어 큰 주제를 하나 정하고, 그 주제 아래서 매 수업의 세부적인 주제에 맞추어 구체적인 레포트를 단계적으로 작성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수업 도중에 학우들과 토론하거나 의견을 발표할 수 있는 시간이 많았던 점, 개별로 작성하는 매 레포트마다 교수님의 구체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었던 점 등이 이 수업의 큰 장점이었다고 생각합니다.
UCLA 수업의 가장 큰 장점은 교수님의 적극적인 수업 진행과 학우들의 활발한 참여라고 생각합니다. 교수님께서 학생들과의 소통을 중요히 생각하시고, 수업을 독자적으로 이끌어가시기보다는 질의응답이나 토론 등을 통해 학생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수업을 더 선호하시는 것 같습니다. 그에 부응할 만큼 학생들이 거리낌 없이 질문하거나 의견을 이야기해서 능동적인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었습니다. 학생들의 참여가 강조되다 보니, 영어를 비롯한 의사소통 능력이 자연스럽게 느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던 듯 합니다.
UCLA Summer Session의 경우, A, B, C 세션이 있는데 세 세션을 아울러 단계적으로 진행되는 수업들이 꽤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수강했던 스페인어 수업의 경우에도 A 세션에서 Elementary Spanish 1 강의가 시작되었고 이후 B, C Session에서 Elementary Spanish 2, 3 강의가 순서대로 진행되는 식이었습니다. 실제로 제가 수강한 Elementary Spanish 2 수업에는 6월 말 부터 7월 초까지 먼저 진행된 Session A에서 Elementary Spanish 1수업을 듣고 차례대로 B Session에 진입한 학생들이 대다수였습니다. 교수님께서도 제게 Session A에서의 Elementary Spanish 1 수업 내용을 따로 추가로 공부해올 것을 권장하기도 하셔서 그 내용까지 함께 공부해야 했습니다. 만약 UCLA Summer session에서 외국어 강의를 수강하게 되신다면 이 점을 참고하셔서 수강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덧붙여, UCLA Summer Session은 말 그래돌 Intensive Course이기 때문에 단기간에 해야할 것들이 많습니다. 예컨대 제가 수강했던 수업인 SPAN 수업은 3주간 독해/듣기/작문 시험 2회, 오랄 시험 2회, 발표 2회가 있었고 매일 보조적으로 들어야하는 문법 강의와 단어 강의, 퀴즈가 온라인으로 부과되었습니다. COMM 수업은 자필 시험은 따로 없었지만 매일 과제가 부과되어서 총 9번의 수업 중 OT와 마지막 수업을 제외하고 7번의 레포트를 제출해야 했습니다. 수업 시간도 적지 않고, 과제나 시험의 기한이 촉박한 편이니 충분한 공부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강의 계획서를 참고하거나 교수님께 문의를 드려서 시험 일정이나 과제 일정을 미리 알아두고 공부 계획을 세워두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UCLA의 교내 시설에 관해서는, 식당과 도서관을 가장 높이 평가하고 싶습니다. UCLA의 교내 식당들은 미국 물가에 비해 가격이 높지 않은데다, 무엇보다 맛이 정말 좋았습니다. 시중의 미국 음식은 간이 센 경우가 많아서 조금 버거울 때가 있었는데, 교내 식당들이 맛있는 편이라서 학기 중에는 든든하게 다닐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도서관은 학생들이 자유로이 공부할 수 있는 쾌적한 시설들이 1인 독서실 형태, 개방형 열람실 형태, 세미나룸 형태 등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습니다. 저는 중앙도서관인 Powell Library와 Charles E. Young and Research Library 두 곳을 가장 많이 이용했었는데, 두 곳 모두 규모가 매우 크고 공부할 공간들도 잘 마련되어 있어서 좋았습니다. 특히 저처럼 단기간 계절학기 수업을 수강할 땐, 고가의 수업 교재를 사는 게 부담이 되는데, Powell Library에서 Summer Session 학생들에게도 수업 교재를 대출해주어서 부담 없이 책을 마련할 수 있었습니다. 만약 UCLA에서 수업을 수강하게 된다면 꼭 적극적으로 도서관의 공부 시설 및 자료들을 이용할 것을 추천합니다.
1) 유학 결심 이유
안녕하세요 **대학교 경제학과, 미디어 커뮤니케이션학과를 전공 중인 김*원입니다. 저는 외대에 다니면서 다양한 외국 분들과 기회를 접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저학년 때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하늘길이 모두 막혔고, 이후에는 군 휴학과 복학으로 해외로 나가기가 힘들었습니다. 향후 외국계 기업의 마케터로 일하는 것을 희망하는 저였기에 졸업하기 전, 밀도 있는 해외 계절학기를 통해 영어 실력을 기르고 제 커리어를 더욱 탐색해보고 싶었습니다. 또한 기간이 길지 않은 만큼 확실한 아웃풋을 얻을 수 있는 영어권 국가 미국의 명문대를 알아보았으며, 그 중 등록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최상위권 공립대인 UCLA 2025년 여름학기를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미디어, 마케팅 분야에서 UCLA의 교육은 세계적으로 유명하므로 고민은 길지 않았습니다.
2) 학교 및 학업 경험
제가 들은 강의는 Communication 학부의 "Ethical and Policy Issues in Institutions of Mass Communication"입니다. 실제 LA 타임즈에서 20년 넘게 근무하신 저널리스트 출신의 J.뉴튼 교수님이 진행하시며 총 3번의 weekly test(90%)를 보고 출석 및 발표 참여(10%)로 성적을 매기십니다. 전반적인 내용은 저널리즘이며, "언론 보도나 미디어 콘텐츠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무엇을 주의하며 사람들에게 보도할 것인가"와 같은 윤리적 담론까지 깊이 있게 다룹니다. 전체적인 수업 분위기는 굉장히 탄탄하면서도 개방적입니다. 교수님이 정해두신 커리큘럼을 따라가지만 끊임없이 학생들에게 의견을 묻고 사람들과 이야기하며, 저 스스로도 다양한 사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볼 수 있었습니다. 시험 내용은 매주 공부한 수업에서 나오는데 제시되는 2가지의 질문 중 하나를 선택해서 본인의 주장과 근거를 서술하는 스몰 에세이 형식입니다. 금요일마다 강의실에서 수업을 듣고 마지막 30분에 다 같이 UCLA Online에 접속해서 응시하는 형식입니다. 저는 교재를 구매한 뒤 수업 때 교수님의 강조 포인트와 핵심 내용을 따라가기 위해 Otter라는 학습 어플을 다운로드하였고, 이를 챗 GPT와 함께 사용하여 효과적인 복습을 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Comm 187의 난이도인 3~4학년 수준의 심화 전공이라 초반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었으나 이후로도 꾸준히 복습하고 공부하였습니다. 그리고 4.0/4.0으로 최상위 GPA인 A를 받으며 유종의 미를 거두었습니다.
3) 현지 생활 및 적응
우선 UCLA 캠퍼스는 정말 크고 예쁩니다. 무엇보다 7월에도 기온이 30도를 넘지 않을 만큼 날씨가 너무 좋고 습하지도 않습니다. 특히 비도 거의 안 와서 LA에서 지내는 기간 동안 우산을 단 한 번도 사용하지 않았을 정도입니다. 저녁에는 오히려 쌀쌀한 경우도 많으니 얇은 가디건이나 바람막이 정도는 챙겨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는 주로 상징적인 로이스 본관에서 사진을 찍거나, 시험 전날 파월 도서관에 들러 공부하는 것을 좋아했습니다. 다만 여름 특성상 햇빛이 강하고 강의실까지의 거리도 있어서(도보 20분) 주로 Bird나 Lime 같은 전동 킥보드를 자주 애용했습니다.
집은 따로 구하지 않고 기숙사를 신청했습니다. 미국 물가는 정말 높은데 이곳 UCLA는 기숙사와 함께 14 meals/ 1 week 구성의 밀키트 쿠폰도 신청할 수 있어서 무조건 기숙사에 지내는 것이 이득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학식은 무한 뷔페로 나오는데 정말 맛있습니다. 과장 안 하고 한국의 평균적인 양식당보다 여기 학교 음식이 더 맛 좋습니다. 실제로 UCLA 구내 음식은 미국 전역에서도 가장 맛있는 학식 중 하나라고 하니 웬만하면 기숙사를 신청할 것을 권해드립니다. 제 룸메이트는 컴퓨터 공학 수업을 듣는 중국인 학생이었는데 금방 친해져서 3주 동안 서로에게 큰 힘이 되어주었고 현재까지도 인스타그램으로 소통하고 있습니다.
수업이 없을 때는 LA의 관광지를 돌아다니기도 했습니다. 전 차량은 따로 렌탈하지 않았기 때문에 Bruin U-pass라는 학생 대중교통 카드를 따로 구매했습니다. $30만 지불하면 LA에 있는 대부분의 교통 수단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여름학기 기준 6/16~9/14). 다만 LA는 대중교통의 배차 간격이 크고 서울처럼 촘촘하지 않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불편한 점도 많았습니다. 특히 밤 9시 이후로는 치안이 위험하고, 유명한 관광지가 뉴욕처럼 몰려있는 것이 아니라 분산된 것이 많아서 우버값이 은근히 많이 듭니다. 만약 비용을 아끼시고 싶으시다면 그룹으로 우버를 탑승하시거나 최대한 수업이 없는 오전 시간대에 돌아다니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제 최애는 산타 모니카 해변, 디즈니랜드, 그리고 그리피스 천문대입니다.
4) 해외교육문화원 이용 경험
해외교육문화원을 알게 된 것은 인터넷(블로그 후기)을 통해서입니다. 미국을 방문한 학생분들이 대부분 이곳을 방문한 것을 보고 저도 상담을 요청했으며, 결과적으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가장 큰 도움을 받은 것은 UCLA 컨택트와 미국 비자입니다. 해외교육문화원은 현재까지도 유일한 "공식 UCLA 연계 한국 유학원"으로 알고 있습니다. 심지어 맨 처음 다른 유학원에 갔을 때도 그곳 원장님이 UCLA를 희망하실 거면 이곳으로 가라고 미련 없이 보내주실 정도였습니다. 만일 UCLA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바로 이곳으로 오시면 됩니다. 또한 이번이 제 첫 미국 방문이고 현재 이민 정책 변수가 많아서 정말 불안했습니다. 그렇지만 해외교육문화원에서 대사관 면접 연습도 세심히 봐주시고, 수많은 서류도 일사천리로 매끄럽게 잘 처리해주셔서 F-1 비자도 한 번에 받을 수 있었습니다. 이번에 가장 잘한 일 중 하나가 바로 해외교육문화원에 와서 효율적으로 제 미국행을 준비할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Copyright ⓒ1981 - 2021 SELF-APPLY. All Rights Reserved.
Overseas Education & Culture Center of Korea (OECKO)
104-A, Gunjagwan, Sejong University, 209 Neungdong-ro Gwangjin-gu, Seoul, 05006,South Korea
Phone: +82-2-512-2022, +82-10-2018-3228